본문 바로가기
미술사&미술교육

서양미술사_21 추상표현주의의 모든 것(폴록, 로스코, 드 쿠닝)

by 일월의이응 2025. 4. 29.
반응형

1. 추상표현주의란 무엇인가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는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 초반, 미국 뉴욕을 중심으로 전개된 현대미술 운동입니다.
이름처럼, 구체적인 대상을 묘사하는 대신 개인의 감정과 무의식을 추상적인 형태로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이 운동은 단순히 '형태를 없앤 것'이 아니라, 표현 그 자체를 목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기존 미술과 결정적으로 달랐습니다.
즉, 그림은 어떤 대상을 보여주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작가의 내면세계가 화면 위에 즉흥적이고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장(field) 이 된 것입니다.

또한, 추상표현주의는 오랫동안 미술의 중심지였던 파리에서 뉴욕으로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뉴욕은 이 운동을 통해 세계 현대미술의 새 수도로 부상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뉴욕 스쿨(New York School)'이라는 이름도 탄생했습니다.

결국, 예술의 목표 역시 바뀌었습니다.
'
무엇을 그릴 것인가' 고민하는 시대를 넘어, '어떻게 존재할 것인가' 탐구하는 시대로 접어든 것입니다.


2. 등장 배경 : 전쟁과 대륙 이동, 뉴욕의 부상

제2차 세계대전은 유럽 미술계를 붕괴시켰습니다. 수많은 예술가들이 전쟁을 피해 미국으로 망명하면서, 뉴욕은 자연스럽게 국제 현대미술의 새로운 중심지가 됩니다.

특히 초현실주의 작가들의 영향은 큽니다. 앙드레 브르통(André Breton),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 등은 "무의식의 세계를 자유롭게 탐구하라"라고 말했고, 이는 추상표현주의 작가들에게 강렬한 영감을 주었습니다.

  • 경제적 배경: 미국은 전후 경제 호황을 맞이하면서, 예술 후원과 미술시장 또한 급성장했습니다.
  • 정치적 배경: 냉전시대 미국 정부는 '자유의 상징'으로 현대미술을 해외에 적극 홍보했습니다. 실제로 CIA가 추상표현주의를 국제적 선전수단으로 활용했다는 연구(출처: Frances Stonor Saunders, 『The Cultural Cold War』, 1999)도 있습니다.

요약하면,
전쟁 → 유럽 현대미술의 이주 → 뉴욕 부상 + 미국 정부 지원
이라는 구조가 만들어낸 결과였습니다.


3. 추상표현주의의 주요 특징

(1) 즉흥성(Spontaneity)과 자동성(Automatism)

계획 없이, 순간순간 몸짓과 감정에 따라 작업이 진행됩니다.
이는 초현실주의의 '자동기술법(Automatism)'에서 영감을 받은 방식입니다.

(2) 대형 캔버스와 몰입

작품 크기가 매우 큽니다.
관객이 '그림을 보는 것'이 아니라, '그림 안에 들어가는 체험'을 하게 만듭니다.

(3) 감정의 직접 표출

작가는 사회적 이슈나 서사를 그리기보단, 내면 깊은 곳의 감정과 에너지를 직접 화면에 투영합니다.

(4) 행위로써의 회화(Action Painting)

특히 잭슨 폴록은 "그림을 그리는 행위" 자체가 예술이라는 개념을 확립했습니다.
이를 "액션 페인팅"이라고 부릅니다.


4. 대표 작가와 주요 작품

잭슨 폴록 (Jackson Pollock, 1912–1956)

  • 대표작: <Number 1, 1949>(MoMA 소장)
  • 특징: 드립(drip) 기법 – 바닥에 놓인 캔버스 위를 걸어 다니며, 물감을 뿌리고 흘려 내림.
  • 의의: 작품이 아니라 '창작의 행위'를 예술로 확립했습니다.

“나는 그림 안으로 들어가, 그림을 그립니다.”
– 잭슨 폴록

 

마크 로스코 (Mark Rothko, 1903–1970)

  • 대표작: <Orange and Yellow>(1956)
  • 특징: 경계가 흐릿한 색면(color field)을 통해 강렬한 감정적 경험을 유도.
  • 의의: 단순한 형태를 통해 존재론적 질문을 던졌습니다.

"나는 관람객이 그림 앞에서 울기를 원한다."
– 마크 로스코

 

윌렘 드 쿠닝 (Willem de Kooning, 1904–1997)

  • 대표작: <Woman I>(1950–52, MoMA 소장)
  • 특징: 인체를 주제로 하면서도 강렬한 붓질과 해체된 형태를 사용.
  • 의의: 추상과 구상 사이를 넘나드는 자유로운 회화를 제시했습니다.

5. 파생 흐름과 영향

추상표현주의는 두 가지 주요 방향으로 확장되었습니다:

  • 액션 페인팅(Action Painting): 폴록, 드 쿠닝처럼 '몸짓'에 초점을 둔 흐름
  • 색면 회화(Color Field Painting): 로스코, 뉴먼처럼 '감정의 깊이'를 색면으로 탐구하는 흐름

또한 이 운동은 1960년대 팝아트, 미니멀리즘, 개념미술 등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특히 "예술가 개인의 자유로운 표현"을 존중하는 현대미술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추상표현주의는 단순히 미술 양식을 바꾼 것이 아닙니다.
예술의 개념 자체를 뒤흔들며, "예술은 무엇을 그리는가"에서 "어떻게 존재하는가"로 질문을 바꿨습니다.

뉴욕 한복판에서, 붓을 휘두르고 물감을 흩뿌리며, 거대한 캔버스 앞에 서 있던 작가들의 모습.
그 자유롭고 격정적인 에너지는 오늘날까지도 현대미술의 심장을 뛰게 하고 있습니다.


⬇️ 이전 시대의 흐름이 궁금하다면 함께 읽어보세요!

 

서양미술사_19 미래주의·다다이즘·초현실주의 : 전통을 깨는 전위 예술의 등장

1. 전통을 깨는 전위 예술의 등장20세기 초, 유럽 사회는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 그리고 제1차 세계대전이라는 큰 격변을 겪게 됩니다. 이 시기 예술은 단순히 미(美)를 추구하거나 전통적인 규

jan01010.co.kr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