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아트로그

현대미술교육의 이론과 사상 : 이해중심의 미술교육

by 일월의이응 2025. 3. 19.
반응형

 

 

이해중심의 미술교육은 미술을 단순한 자기표현의 도구가 아닌, 미술의 본질적 개념과 탐구 방법을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교육을 강조합니다. 이는 학문적 접근을 통해 미술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고, 미술 작품을 비평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해중심 미술교육은 20세기 후반 로웬펠드와 치젝으로 대표되는 창의적 자기표현 중심 미술교육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 창의적 자기표현 중심 미술교육이 학생의 자발적 표현과 창의성 개발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해중심 미술교육은 미술의 지적 측면과 학문적 가치를 강조합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미술교육이 감성적 활동을 넘어 인지적 발달과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미술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고, 미술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제롬 브루너(Jerome Bruner)와 지식의 구조

제롬 브루너(1915-2016)는 20세기 중반 인지혁명을 이끈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교육학자로, 학습을 단순한 정보 습득이 아니라 이해를 통한 의미 구성 과정으로 보았습니다.

브루너는 『교육의 과정(The Process of Education)』(1960)에서 '지식의 구조(Structure of Knowledge)'라는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각 학문 분야의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의미합니다. 그는 "어떤 주제든지 지적으로 올바른 형태로 모든 발달 단계의 아동에게 효과적으로 가르칠수 있다"라고 주장하며,학생들이 각 학문 분야의 전문가처럼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당 분야의 핵심적인 개념과 원리를 가르쳐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브루너는 '나선형 교육과정(Spiral Curriculum)'이라는 개념도 제시했는데, 이는 기본 개념을 점차 심화하여 반복적으로 가르치는 방식입니다. 학생들은 동일한 개념을 발달 단계에 맞게 점진적으로 심화된 형태로 학습함으로써 깊이 있는 이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제롬 브루너(Jerome Bruner) 나선형 교육과정

 

브루너의 이론은 미술을 단순한 기능 훈련이나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미술을 지적인 탐구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는 이후 등장한 학문 중심 미술교육(DBAE)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습니다.

2. 엘리엇 아이스너(Elliot Eisner)와 예술적 인지

엘리엇 아이스너(1933-2014)는스탠퍼드대학의 미술교육 교수로, 미술교육이 단순한 자기표현을 넘어 미술의 본질적 가치와 지식을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교육적 상상력(The Educational Imagination)』(1979)과 『인지와 교육과정(Cognition and Curriculum)』(1982) 등의 저서를 통해 미술을 통해 발달하는 특수한 인지 능력과 사고방식을 '예술적 인지(Artistic Cognition)'로 개념화했습니다. 이는 미술이 단순한 감성적 활동이 아니라, 고유한 지적 능력을 요구하는 활동임을 강조한 것입니다.

인간의 인지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각각이 세계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고유한 방식을 제공한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감각적 경험과 질적 판단을 통해 세계를 이해하는 능력을 '질적 지성(qualitative intelligence)'이라 불렀으며, 미술교육은 이러한 질적 지성을 발달시키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미술이 종종 영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그 중요성이 간과된다고 비판했습니다. 아이스너는 미술이 인지 발달과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미술교육이 교육과정에서 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아이스너는 교육 현장을 평가하기 위한 질적 접근법으로 '교육적 감식안(educational connoisseurship)'과 '교육비평(educational criticism)'을 제안했습니다. 이는 미술 비평의 방법론을 교육 평가에 적용한 것으로, 교육 현상의 미묘한 질적 측면을 포착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강조합니다.

 

아이스너는 미술교육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개별적인 특성과 흥미를 고려한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적 감수성 함양: 아름다움을 느끼고 감상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
창의적 표현 능력 함양: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독창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 미술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며 평가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
문화적 이해 증진: 미술 작품을 통해 다양한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것
자기 이해 심화: 미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과 가치관을 탐색하는 것

 

3. 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1) DBAE의 개념과 등장 배경

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학문 중심 미술교육)는 1980년대 미국에서 게티 센터(Getty Center for Education in the Arts)가 주도하여 발전시킨 미술교육 모델입니다. 이는 미술을 하나의 학문적 탐구 대상으로 접근하며, 미술의 다양한 측면을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가르치는 교육 방법론입니다.

1983년 발표된 "위기에 처한 국가(A Nation at Risk)" 보고서 이후, 미국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 개혁이 시도되었습니다. DBAE는 이러한 맥락에서 미술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모델로 제시되었습니다.

게티 센터는 미술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대규모 연구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DBAE 모델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이를 통해 DBAE는 미국 전역의 학교에 빠르게 확산되었습니다.

2) DBAE의 네 가지 학문 영역

DBAE는 미술교육을 다음 네 가지 학문 영역을 통합적으로 가르치는 접근법으로 체계화했습니다

① 미술 제작(Art Production)

미술 제작은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활용하여 미술 작품을 창작하는 영역입니다. 이는 전통적인 미술교육에서 가장 강조되어 온 영역이지만, DBAE에서는 단순한 기술 습득이 아닌 개념적 이해와 문제 해결 과정으로서의 미술 제작을 강조합니다.

-다양한 매체와 기법의 탐구

-창의적 아이디어 개발과 표현 능력 함양

-시각적 문제 해결 능력 개발

-작품 제작 과정에서의 의사결정과 비평적 사고

② 미술사(Art History)

미술사는 미술 작품과 예술가에 대한 역사적 지식, 미술의 발전 과정, 문화적 맥락에 대한 이해를 다루는 영역입니다.

-다양한 시대와 문화의 미술 작품 연구

-미술 양식과 사조의 발전 과정 이해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미술 이해 -예술가의 생애와 작품 세계 탐구

③ 미술 비평(Art Criticism)

미술 비평은 미술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며, 평가하는 능력을 기르는 영역입니다.

-미술 작품의 형식적 요소(선, 색, 형태, 질감 등) 분석 -작품의 내용과 의미 해석

-미술 작품에 대한 판단과 평가

-자신의 해석과 판단을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능력 개발

④ 미학(Aesthetics)

미학은 미술의 본질, 가치, 의미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다루는 영역입니다.

-'미술이란 무엇인가?',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등의 철학적 질문 탐구 -미적 경험의 본질과 가치 이해

-미술 작품의 가치 판단 기준에 대한 논의

-다양한 미학 이론과 관점 탐구

3) DBAE의 교육 원리

① 통합적 접근: 네 가지 학문 영역을 분리하여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연관성을 강조하며 통합적으로 가르칩니다. 예를 들어, 특정 미술가의 작품을 만들면서(미술 제작), 그 미술가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을 학습하고(미술사), 작품의 형식과 의미를 분석하며(미술 비평), 그 작품이 제기하는 미학적 질문을 탐구합니다(미학).

② 체계적인 교육과정: 내용과 개념이 학년별로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브루너의 나선형 교육과정 개념에 따라 기본 개념을 점진적으로 심화시켜 가르칩니다.

③ 명확한 학습 목표: 각 영역별로 명확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수-학습 활동을 계획합니다.

④ 미술 작품 중심 교육: 질 높은 미술 작품을 교육의 중심에 두고, 이를 통해 미술의 다양한 측면을 탐구합니다.

 

4) 교육 방법

DBAE는 다양한 교육 방법을 활용하여 네 가지 학문 영역을 통합적으로 가르칩니다: 강의와 토론 : 미술사, 미학 등의 이론적 내용을 강의하고 토론하는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이해를 돕습니다.

작품 분석 : 다양한 미술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비평 능력을 기릅니다.

실기 활동 :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사용하여 미술 작품을 제작하는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 능력을 기릅니다.

글쓰기 활동 : 미술 작품에 대한 감상문, 비평문, 연구 보고서 등을 작성하는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사고력과 표현력을 기릅니다.

현장 학습 : 미술관, 박물관, 화랑 등을 방문하여 실제 미술 작품을 감상하고 체험하는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이해를 넓힙니다.

 

5) 평가 방법

작품 평가 : 학생들이 제작한 미술 작품의 창의성, 기술성, 표현력 등을 평가합니다.

지필 평가 : 미술사, 미학 등의 이론적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합니다.

발표 평가 : 미술 작품 분석, 비평 등에 대한 발표 내용을 평가합니다.

포트폴리오 평가 : 학생들이 제작한 작품, 감상문, 비평문 등을 모아놓은 포트폴리오를 평가합니다.

자기 평가 :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 과정과 성취도에 대해 스스로 평가합니다.

 

6) DBAE에 대한 비판

DBAE는 많은 기여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비판과 한계가 지적되었습니다: 서구 중심적 관점 : DBAE가 주로 서구 미술의 전통과 가치관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다양한 문화권의 미술을 포괄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 이는 문화적 다양성과 포용성이 강조되는 현대 교육 환경에서 중요한 한계로 지적됩니다.

창의성과 자기표현의 상대적 약화 : DBAE가 지식과 이해를 강조하면서 창의성과 자기표현의 측면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다는 우려가 있었습니다. 지나친 학문성 강조로 미술의 감성적, 창의적 측면이 소홀히 취급될 수 있다는 비판입니다.

실행의 어려움 : 네 가지 학문 영역을 모두 전문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교사의 폭넓은 지식과 능력이 요구되며, 제한된 수업 시간 내에 모든 영역을 다루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는 교사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획일적인 교육과정 : 모든 학생에게 동일한 내용을 가르치기 때문에 학생들의 개별적인 특성과 흥미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이는 학생 중심 교육이 강조되는 현대 교육 패러다임과 충돌할 수 있습니다.

평가의 어려움 : 미술 작품의 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창의성과 미적 감수성과 같은 측면을 평가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맥락적, 사회적 측면 간과 : DBAE가 미술의 형식적, 학문적 측면을 강조하면서 미술의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맥락과 의미를 충분히 다루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 이는 미술이 사회 변화의 도구로서 가지는 역할을 간과할 수 있습니다.

 

DBAE의 기본 원리와 방법론은 여전히 현대 미술교육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많은 학교에서 DBAE의 요소를 포함한 통합적인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5.03.16 - [🎨 아트+컬쳐] - 현대미술교육의 이론과 사상 : 표현기능중심과 창의성 중심

 

현대미술교육의 이론과 사상 : 표현기능중심과 창의성 중심

현대사회에서 미술교육은 단순한 기능 습득이나 표현 활동을 넘어 창의적 사고력, 비판적 분석력, 문화적 이해력을 함양하는 종합적 교육으로 그 의미가 확장되고 있습니다.이 시리즈는 미술교

january01010.tistory.com

 

반응형
-->